만성절 설교 All Saints Sunday Sermon

죽음이 끝이 아니다 Death Is Not the End
요한복음 11:32-37 (John 11:32-37)
오늘은 만성절(전교인추모주일)이다. 우리는 오늘 삶을 마치고 천국에서 하나님과 영원히 함께하고 계신 가족과 친지와 사랑하는 사람들을 추모하며, 깊은 상실 가운데 우리와 함께 계시는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에 감사드린다.
On this All Saints Sunday, we remember our church members, friends, family members, and loved ones who left this earth and join the company of saints in heaven. We give thanks to God today for all the love and grace and life’s lessons we have received from our saints.
우리는 죽음 후의 삶에 관해 정확히 알 수는 없다. 우리의 모습은 어떨까? 사랑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 예수가 누구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정확히 답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기독교 신앙의 핵심은 죽음이 끝이 아니라는 점이다.
Death is a mystery. We don’t know what it is like after we die. We don’t know how we will look or recognize our loved ones. How will we know who Jesus is among all the saints? No one has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However, our Christian faith tells us that death is not the end of our journey.
부활을 믿지 않는 사두개인들이 예수를 찾아온 적이 있었다. 그들은 예수에게 7명의 아들이 있는 집안에 한 여인이 첫째 아들과 결혼했지만, 자식이 없이 죽으므로, 아내를 그의 동생에게 남겨 놓았고, 둘째도 셋째도 그렇게 해서, 일곱이 다 그렇게 하기에 이르러 모두 자식 없이 사망한 경우, 그 부인은 부활 후에 누구의 부인이 되느냐는 질문을 했다. 이는 모세의 법에 따라서 남편이 자식 없이 사망했을 때 그 형제가 미망인과 결혼하여 자식을 낳게 하는 법을 두고 예수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었다.
Once the Sadducees visited Jesus. They did not believe in resurrection. They asked Jesus what would happen to a widow who was married to all seven brothers, one after another, after each died. It was a trick question grounded in the Mosaic law that says when a married man dies without any offspring, his brother is to marry the widow. The Sadducees asked this question to show the impossibility of resurrection.
이에, 예수님은 “이 세상 사람들은 장가도 가고, 시집도 가지만, 저 세상과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살아나는 부활에 참여할 자격을 얻은 사람은 장가도 가지 않고 시집도 가지 않는다. 그들은 천사와 같아서, 더 이상 죽지 않는다. 그들은 부활의 자녀들이므로, 하나님의 자녀들이다”(누가복음 20:35~36)라고 답했다. 즉, 부활의 삶은 이 세상의 법칙 이상이라는 가르침이다.
So Jesus responded that in life everlasting with God, we will have a different body. That body will not be like the bodies we have in this life. There will be no marriages, no husbands, and no wives. We are simply children of God. In God, we are all alive. In God, we are all children of resurrection. In God, we are all beloved.
이 가르침에 관해 신학자 월터 부르거만은 “하나님이 없다면, 죽음이 승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하나님이 계신다. 그리고 하나님은 생명의 하나님이다”라고 한다.
Walter Brueggemann, in his commentary on this text, says that without God, death will win. We are not without God. Our God is a God of life.
나이, 학력, 재력 등과 상관없이 인간이 모두 사망한다는 것은 현실이다. 그러나, 부활과 생명의 하나님의 자녀들인 우리는 죽음이 마지막이 아님을 안다. 예수의 부활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고, 부활하신 예수를 통해 우리도 모두 부활하게 됨을 믿는다. 그렇기에 우리가 죽음 후의 삶에 관해 다 알지 못하더라도 우리는 불안해하지 않는다. 걱정하지 않는다. 부활의 믿음이 있기에 오늘과 현재의 삶을 더 알차고, 성실하고, 의미 깊게 살 수 있다.
It is human reality that everybody dies. But as the children of the God of resurrection and life, we know that death is not the end. Jesus’ resurrection is at the heart of Christian faith, and we believe that we will be resurrected through Jesus. Therefore, even though we may not know the details about our life after death, we are not anxious. We don’t worry about it. Thanks to our trust in resurrection, we can live today with more fruitfulness, faithfulness, and meaning.
기독교 전통에서는 신앙 안에서 돌아가신 분들을 성인이라고 한다. 성인을 생각할 때 우리는 흔히 마더 테레사, 마르틴 루터 킹 목사, 아시시의 성 프란체스코 등 유명한 인사들을 떠올린다. 물론 이런 큰 인물들은 우리에게 중요한 신앙의 유산을 남기셨다. 그러나 성서적 의미의 성인은 더 포괄적이다. 신약에서 성인을 뜻하는 헬라어는 복수형인 “아기오스”(hagios)이다. 그 문자적 의미는 성스러운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하나님의 자녀로 신앙을 통해 삶의 여러 어려움과 도전 속에서도 작게 크게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한 사람들이다.
The New Testament Greek word for saint is “hagios,” a plural term that means saints. It means “holy people.” In other words, the biblical meaning of saint is not necessarily a hero (like St. Mother Therese, Martin Luther King Jr., or St. Francis of Assisi, although we admire and love them for their love and compassion and the impact they made in history). Saints are not just the ones who died, either, according to the New Testament, because the biblical reference does not indicate that. Rather, saints are God’s holy ones, all who live in faith. To live in faith does not mean we are always confident. We may struggle with faith, question God’s presence, and, at times, feel deep despair. Yet, to have faith means that we don’t give up.
부활의 확신이 있어도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것은 아픈 경험이다.
Even with the assurance of resurrection, it is still painful to lose someone we love.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은 당신을 울게 합니다”라는 아르헨티나의 속담이 있다. 사랑과 눈물은 동행할 때가 많다. 누군가를 사랑할 때 이 사랑은 우리에게 형용할 수 없을 만큼의 큰 기쁨을 준다. 또한 사랑으로 인해 큰 아픔, 슬픔, 고통을 느끼게 될 수도 있다. 사랑한다고 해서 사랑하는 만큼 나의 사랑을 돌려받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이 그 사랑의 깊이를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이 죽을 경우 그 상실감과 슬픔은 우리가 상상하지도 못했을 만큼 클 수도 있다.
“The one who loves you will make you weep,” an Argentine proverb says. Love and tears seem to go hand in hand. When we love someone, this love often brings us exhilarating joy. But at the same time, love can be the cause of deep pain, anguish, and sorrow. Our love may not always be reciprocated or respected. Our loved one may not know the depth of our heart. And we do lose our loved ones – sometimes quite unexpectedly.
시인 잰 리처드슨(Jan Richardson)은 그녀의 책 “슬픔의 치유”(The Cure for Sorrow”)에서 남편 사후에 자신이 경험한 상실감에 관해 말한다. 그녀에게 남편은 전부였기에 그가 죽은 후에 너무나 힘들었다고 한다. “미망인으로 사는 첫날의 축복”이라는 시에서 “원한다면 울어라. 소리질러라. 통곡하라. 우리 신앙의 선조들은 애도의 하나로 옷을 찢고 머리에 재를 뿌렸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후에 일상생활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In her book, The Cure for Sorrow, Poet and artist Jan Richardson writes about losing her husband, who died suddenly after a few years of marriage. Losing him was devastating. In a poem titled “Blessing for My First Day as a Widow,” she writes:
“Weep. Scream. Wail, if you want. There was a reason the ancients told us to rend our clothes after a death, to cover our heads with ashes. They knew that keeping it together is overrated.”
예수도 사랑의 기쁨과 슬픔을 너무도 잘 알았다. 오늘 본문에서 우리는 그가 사랑하던 제자 중의 하나이자 마리아와 마르다의 형제인 나사로가 중병에 걸려 사망한 이야기를 듣게 된다. 예수가 나사로의 집에 도착했을 때 모두 깊게 슬퍼하고 있었다. 마리아는 울면서 예수가 좀 더 일찍 왔으면, 동생이 죽지 않았을 것이라며 그 안타깝고 섭섭한 마음을 표현했다. 여러 사람이 울고 있었다. 이에 예수도 마음에 깊이 감동하고 울었다. 예수가 울었다는 기사는 복음서에 두 번 밖에 나오지 않는다. 이 요한복음의 본문과 예수가 마지막으로 예루살렘에 입성하기 직전에 보인 눈물이다(누가복음 19:41~44).
Jesus knew love’s delight and sorrow in all different shades and characteristics. In today’s Gospel text (John 11:32-37), we hear that one of his beloved friends – Lazarus, the brother of Mary and Martha, became seriously ill and died. When Jesus arrived, everybody was deeply grief-stricken. Mary was weeping, and the depth of her sadness was expressed in her complaint to Jesus - “If you had been here, my brother would not have died!” Others were also weeping. The gospel says that Jesus was “greatly disturbed and deeply moved.” And he started to weep with them. The only other occasion Jesus wept, according to the gospels, was when he wept for Jerusalem (Luke 19:41-44).
누가복음은 예수가 예루살렘에 가까이 가며 사람들은 호산나를 외치며 그를 환영했지만, 그를 십자가의 죽음으로 몰아갈 예루살렘의 정치적 타락, 사회적 혼란, 종교적 몰락을 감지했고, 그 복잡한 심경이 눈물로 표현했다. 한편, 나사로의 집에서 보인 눈물은 하나님의 측은지심을 보여준다. 하나님의 자애로우심이 우리의 가슴 깊이 들어옴을 말해준다. 예수의 눈물에서 우리는 신의 눈물과 인간의 눈물이 결합함을 본다. 사랑하는 나사로의 죽음 앞에서 함께 애통해하는 예수의 모습에서 하나님의 현존과 사랑을 보여준다. 그리고 나사로를 일으켜 세우시며 부활이 가능함을 알려준다.
Luke tells us that as Jesus approached Jerusalem, people welcomed him, shouting “Hosannas.” Yet, Jesus’ tears reflected his complex emotions as he faced Jerusalem’s political corruption, social confusion, and religious failure. On the other hand, Jesus’ tears at the house of Lazarus were an indication of God’s compassion. We see in Jesus the God who cries – cries for our pain and suffering. In Jesus’ tears, we sense that our God is compassionate. This compassionate heart of God is boundless and limitless; it reaches the deep center of our being. There, the divine tears and our human tears are mingled and mixed in grace. In this way, the tears can be an experience of an encounter with the divine. Jesus resurrected Lazarus, showing us that resurrection is possible for us all.
우리를 떠난 가족과 친지와 성도들은 우리의 성인이다. 사랑하는 사람들을 기억하며, 우리는 아쉬움이 많을 수 있다. 더 나누고 싶은 이야기도 있고 사랑한다고 더 말하고 싶기도 할 것이다. 시간을 함께 더 많이 보냈으면 혹은 더 이해해 주고 용서해 주면 좋았을 것이라는 후회가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함께하고 사랑을 나눈 그 모든 시간에 감사한다. 우리는 부활의 소망을 믿으며 이 모든 아쉬움과 애통함을 하나님 앞에 내려놓는다.
Our family members, friends, and church members who departed from this earth are now our saints. As we remember our loved ones, we may wish we had more time with them. We may have more stories to share and wish to have said, “I love you” more. We may have regrets for not having understood or forgiven them more. Yet, we give thanks to God for all the love we shared. As we hope in resurrection, we lay down all our regrets and sadness before God.
하나님이 우리의 모든 추모를 축복해 주시기를 기도한다. 아멘.
May God bless all our memories with our saints! Amen.
Rev. Dr. Hwa-Young Chong holds a BA in Christian Studie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in Seoul, Korea. She completed her M.Div. and Ph.D in Theological and Historical Studies from Garrett-Evangelical Theological Seminary in Evanston, Illinois. She is an ordained elder in the Northern Illinois Conference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She serves as the district superintendent for the Prairie North District of the Northern Illinois Conference.
Contact Us for Help
Contact Discipleship Ministries staff for additional guidance.